본문 바로가기

Unreal/Tips

(16)
[UE5 Tips] Alembic(.abc)이란? 개요Alembic(Alembic .abc)은 산업 표준 3D 데이터 교환 파일 포맷으로, 애니메이션된 지오메트리(Geometry Cache)를 저장 및 전송하는데 사용주로 VFX, 애니메이션, 게임 엔진(언리얼 엔진 포함)에서 사용되며, Blender, Maya, Houdini 등 다양한 3D 소프트웨어에서 지원  Alembic의 주요 특징기능설명Geometry Cache (지오메트리 캐시)정점(Vertex) 기반 애니메이션을 저장Skeletal Animation(본 기반 애니메이션) 저장 X본(Bone) 애니메이션이 아닌 메시 변형 데이터만 저장프레임별 정점 데이터 저장모든 프레임의 정점 위치를 저장하여 변형 애니메이션 지원효율적인 데이터 압축정점(Vertex) & 노멀(Normal) 데이터 압축 가능..
[UE Tips] 언리얼 엔진에서 WebSocket 통신 구현하기 WebSocket 프로토콜이란?WebSocket은 TCP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입니다.HTTP 프로토콜과 다르게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며, 데이터를 빠르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주요 특징Full-duplex Communication: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낮은 오버헤드: HTTP보다 효율적인 통신.실시간 데이터 전송: 게임, 채팅, 알림 등에 적합. Unreal WebSockets 모듈Unreal Engine의 WebSockets 모듈은 WebSocke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는 데 사용됩니다.WebSocket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WebSocket 구현에 적합.   W..
[UE Tips] Enhanced Input System 활용하기 기존에 블루프린트에서 이벤트 키맵핑이나 Input을 설정할 때 블루프린트 내부에서 설정하고 적용했다면, Enhanced Input System을 활용하여 관리하는게 더 좋다.왜냐하면 블루프린트 내부에서 설정을 하면 어디에 어떤 키맵핑이 사용되고 어떤 효과를 주는지 모르기때문에 관리나 트래킹이 어렵다.   Input Mapping Context와 추가하고 싶은 Input Action들을 추가해준다.Input Mapping ContextInput Action  Input Action Value Type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bool, float, vector2D, vector)Triggers트리거 타입을 설정할 수 있다. (Pressed, Released, Chorded Action …)Modifiers..
[UE Tips] 언리얼 엔진에서 웹캠 출력하기 생각보다 유니티에서 하는 것 보다 쉬워서 놀랐다.보통 웹캠을 받아 출력하는 기능은 유니티로 많이 작업했는데, 언리얼 엔진으로 작업할 수 있는 걸 확인하고 비주얼과 함께 가져갈 수 있을 듯 하다. 먼저 컨텐츠 브라우저에서 Media Player를 만들어 준다. 이미지와 같이 웹캠을 정상적으로 인식하는지 테스트를 해본다. 블루프린트를 만들어준다. 일단은 Actor로Enumerate Video Capture Devices 노드로 현재 비디오 캡쳐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을 찾아와준다. Make Bitmask를 통해 원하는 필터를 걸어줄 수 있다.EMediaWebcamCaptureDeviceFilter로 웹캠을 필터링할 수 있지만 만약 웹캠을 찾을 수 없다면 EMdiaVideoCaptureDeviceFilter로 ..
[UE Tips] 텍스처가 흐리게 나오는 경우 해결방법 간혹 텍스처를 임포트했을 때 위 그림처럼 텍스처가 흐리게 나올 경우가 있다.  Apply Paper 2D Texture Settings을 클릭해주면 다음과 같이 텍스처가 뚜렷하게 나오게 된다.
[UE Tips] 언리얼 시퀀스에서 블루프린트 이벤트 추가하기 시퀀스에서 블루프린트를 넣어주고, +를 눌러 Event탭의 원하는 이벤트 방식을 선택해준다.이벤트는 현재 바가 위치한 곳에 포인트가 찍히며 생성된다.   해당 포인트를 더블클릭하면 시퀀스 블루프린트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포인트에 이벤트를 연결할 수 있는 커스텀 이벤트 노드가 추가된다.
[UE Tips] 언리얼 엔진 Experience 언리얼 엔진 5에서 Experience는 Lyra Starter Game을 통해 도입된 개념으로, 특히 Gameplay Ability System (GAS)와 깊이 연계되어 있는 중요한 시스템  이 개념은 게임의 전반적인 경험(게임 모드, 플레이어 설정, HUD, 맵 등)을 한곳에서 관리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를 제공 이를 통해 게임에서 다양한 경험을 쉽게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다.   Experience란 무엇인가?Experience Definition Asset라는 에셋으로 구현되며, 게임의 전반적인 플레이 환경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어 구성 요소 (Player Component)플레이어가 가진 능력, 상태, 시작 시 아이템 등을 정의월드 설정 (World Settings)게임..
[UE Tips] 언리얼 엔진에서 mp4로 렌더하는 법 언리얼 엔진에서 영상을 무비 렌더큐의 기본 옵션으로 렌더하게 되면, 보통 .mov로 렌더를 하게 된다.아니면, jpg나 png시퀀스로 렌더를 하게 된다.이를 .mp4로 렌더해보자. 먼저 플러그인에서 Movie Render Queue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재실행해준다. Movie Render Queue에서 ffmpeg를 통해 인코딩 및 렌더를 할 것이기 때문에 ffmpeg를 다운받아 준다. Builds - CODEX FFMPEG @ gyan.devFFmpeg is a widely-used cross-platform multimedia framework which can process almost all common and many uncommon media formats. It has over 1000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