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real/BP (5) 썸네일형 리스트형 [UE] Set Timer by Event사용시 첫 시작 딜레이 없이 바로 실행해보자 (BP) BP에서 Timer Event 기능을 사용하다 보면. 첫 시작 Event의 경우에도 설정한 Time이 경과하고 나서야 Event가 발생하곤 한다. 어떤 문제인가 Initial Start Delay가 기본값 0으로 설정되어 있는데도 이벤트 전달후 바로 시작이 되지 않나 알아보던 중 파악한 내용 Initial Start Delay는 첫 시작 Time 기준으로 Time + Initial Start Delay의 시간이 지나고 나서야 첫 시작 Event가 발생함 따라서, -Time값을 Initial Start Delay에 넣게 되면 Time + Initial Start Delay의 값은 0이 되므로 Set Timer by Event를 실행한 즉시 Event가 발생하게 된다. [UE] 위젯에 현재 FPS 표시하기 (BP) Delay FPS 업데이트 주기 Truncate 소수점 버림 → int로 초기화(FPS) 초기화 된 int값(FPS)을 Format Text를 통해 Text로 리턴하는 함수 구현 (Get Text) Designer 탭에서 방금 만든 함수를 표시하고 싶은 Text에 Content>Text에 함수를 Bind [UE] 키입력으로 마우스커서 키고 끄기 (BP) 마우스 커서를 핸들링하기 위해서 Get Player Controller(Player Index 0)로 핸들링해준다. 마우스 커서 핸들링 값을 통해 현재 마우스 커서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Show Mouse Cursor로 확인해 준다. Branch 노드를 통해 Set [UE] 키입력으로 위젯 키고 끄기 (BP) Level BP에서 Create Widget을 하고 Add to ViewPort를 한 뒤, 기본 설정을 보이지않게 설정한다. Class는 미리 Widget Class를 만들어준다. Set Visibility>In Visibility를 Hidden으로 설정 Create Widget을 한 뒤, Return Value를 통해 Widget을 핸들링할 수 있음 Widget을 키입력과 Branch를 통해 껐다 켜는 기능을 만들 수 있음 [UE] 패키징 해상도 및 풀스크린 모드 설정하기 (BP) 패키징 해상도 및 풀스크린 모드 설정하기 (BP) Set Screen Resolution 패키징 해상도 설정 → Apply Resolution Settings Set Fullscreen Mode 패키징 풀스크린 모드 설정 → Apply Settings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