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하나부터 열까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Unity VEG] 하나부터 열까지 - Lifetime과 Age의 차이 VEG로 작품을 계속 만들다 보면 Lifetime과 Age라는 변수들을 볼 수 있다. 처음 마주했을 때는 두 변수의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Lifetime Lifetime은 보통 Init 부분에서 선언하고 정의하는데, 이는 하나의 파티클에 대한 수명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파티클이 생성되고, Lifetime에서 설정된 값의 시간이 지나면 파티클은 사라진다. 어찌보면 Lifetime라는 뜻도 맞지만 Duration이라는 말도 맞다고 생각 Age Age는 나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Age의 경우 Get Current Age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말 그대로 파티클의 현재 나이를 가져오는 값이라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Age의 값은 파티클이 생성되는 0에서 부터 설정된 Lifetime까지의 값.. [Unity VEG] 하나부터 열까지 - 원운동과 Position Noramlize 자주 쓰는 방법 원운동 자주 쓰는 방법 중 하나인 원운동이다. Total Time에 Sine과 Cosine 값을 각각 곱하고, X, Y에 대입해주면 시간에 따른 원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Set Position 뿐만 아니라 Force나 Velocity 등등 힘을 주는 부분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Initialize Particle에서 Set Position을 통해 파티클 생성하는 부분을 원운동을 하면서 생성함 Position Normalize Get Position 값에 Normalize를 하게 되면 현재의 포지션인 위치가 아닌 방향만 남게 된다. Multiply를 통해 양수를 곱해준다면, 파티클의 원점(0, 0, 0)에서 현재 파티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반대로, 양수가 아닌 음수를 곱해.. [Unity VEG] 하나부터 열까지 - Spawn과 Initialize Particle Constant Spawn Rate 기본적으로 Spawn을 할 때 많이 쓰임. 생성될때 생성되는 파티클의 수를 설정할 수 있음 Initalize Particle에서 설정된 Capacity의 수에 맞추기 위해 동작함 Constant Spawn Rate - Capacity를 맞추기 위해서 계속해서 생성함 Single Burst 말그대로 한번만 생성하는 컴포넌트 VFX를 플레이하는 이벤트를 받고 Delay에 설정된 시간만큼 대기한 뒤, Count만큼 한번만 생성한다. (Count는 최대 생성할 수 있는 Initalize Particle에서 설정된 Capacity의 수를 넘을 수 없음) Single Burst - Delay 후 한번만 생성 Periodic Burst 말그대로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컴포넌트 (Per..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