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언리얼 엔진에서 영상을 무비 렌더큐의 기본 옵션으로 렌더하게 되면, 보통 .mov로 렌더를 하게 된다.
- 아니면, jpg나 png시퀀스로 렌더를 하게 된다.
- 이를 .mp4로 렌더해보자.
- 먼저 플러그인에서 Movie Render Queue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재실행해준다.
- Movie Render Queue에서 ffmpeg를 통해 인코딩 및 렌더를 할 것이기 때문에 ffmpeg를 다운받아 준다.
Builds - CODEX FFMPEG @ gyan.dev
FFmpeg is a widely-used cross-platform multimedia framework which can process almost all common and many uncommon media formats. It has over 1000 internal components to capture, decode, encode, modify, combine, stream media, and it can make use of dozens o
www.gyan.dev
- 해당 링크에서 release builds 부분을 찾아 ffmpeg-release-full.7z를 다운받아 준다. 7z파일 압축을 풀 수 없다면 반디집 등을 다운받도록 하자.
- 압축을 풀고 나면 bin 폴더 안에 ffmpeg.exe가 있는데, ffmpeg.exe의 경로를 복사해준다.
- ~\bin\ffmpeg.exe
- Edit>Project Settings>Movie Pipeline CLI Encoder의 Executable Path에 경로를 넣어준다.
- Video Codec에는 libx264를 넣어준다.
- Audio Codec에는 aac를 넣어준다.
- Output File Extension에는 mp4를 넣어준다.
- Movie Render Queue로 가서, setting에 Command Line Encoder 옵션을 추가해준다. 그러면 우리가 셋팅한 인코더로 인코딩을 진행하게 된다.
- 여기서 Delete Source Files를 하면 jpg Sequence로 나온 이미지들을 삭제해줄 수 있다.
728x90
'Unreal >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 Tips] 언리얼 시퀀스에서 블루프린트 이벤트 추가하기 (0) | 2024.11.20 |
---|---|
[UE Tips] 언리얼 엔진 Experience (0) | 2024.11.17 |
[UE Tips] 언리얼 엔진에서의 리플렉션 (0) | 2024.11.14 |
[UE Tips] Asset, TSubclassof, CDO, static class의 차이 (4) | 2024.11.07 |
[UE Tips] 언리얼엔진 물리 (Add Impulse, Add Force 차이) 팁 (0) | 2024.09.26 |